본문 바로가기
내맴리뷰_IT

스마트폰 5G 요금제 4G LTE 요금제로 변경하는 방법

by 박달타운 2022. 7. 21.

5G-4G-LTE-요금제-변경-썸네일

5G 통신을 이용하는 소비자라면 생각보다 느리고 불안정한 통신 서비스에 불만을 느낀 적이 있을 것 입니다. LTE 요금제보다 가격도 높기 때문에 다시 LTE로 돌아가는 것도 괜찮은 선택입니다. 오늘은 5G 요금제에서 4G LTE 요금제로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5G에서 4G LTE 요금제로 변경하는 할때는 개통할 때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개통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단, 자급제 방식으로 개통했다면 4G 요금제로 조건 없이 바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급제 방식은 공기계만 따로 구매해 개통한 경우를 말합니다.

 

공시지원금으로 개통한 경우는 통신사 3사 모두 6개월 사용 유지 이후 일정 월 요금을 이용해야 가능합니다.

  • SKT : 6개월 이후 최소 월 요금 45,000원 이상
  • LG U+ : 6개월 이후 최소 월 요금 49,000원 이상
  • KT : 6개월 이후 최소 월 요금 47,000원 이상

선택약정은 개통한 이후 특정일이 지난 다음에 가능합니다.

  • SKT, KT : 개통 후 4개월 이후 변경 가능
  • LG U+ : 개통 후 95일 이후 변경 가능

 

4G LTE 요금제로 변경 방법

5G 스마트폰으로는 LTE 요금제로 변경이 불가능해 별도의 LTE 단말기가 필요하고 유심핀도 있어야 합니다. 또한, LG U+는 대리점에 방문해 확정 기변을 별도로 받아야 4G 요금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변경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5G 유심칩을 LTE 폰으로 옮긴다.
  2. 기기변경 완료 알림이 떴다면 통신사 어플이나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LTE 요금제로 변경
  3. 요금 변경이 완료 되었다면 유심칩을 다시 휴대폰으로 이동
  4. LTE 통신 가능 여부 확인

통신사 어플 종류

  • KT : 마이 케이티
  • SKT : T World
  • LG U+ : U+ 고객센터

통신사 고객센터

  • 3사 모두 1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