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으로 한 달에 평균 7만 원의 요금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대기전력 때문인데요. 대기 전력을 줄여 전기세를 줄일 수 있는 현명한 소비 방법을 소개합니다.
셋톱박스 대기전력
셋톱박스는 가정에서 대기전력을 12.3W 소모하는 가장 대표적인 가전제품입니다. TV 대기전력이 1.3W인 것과 비교해 보면 거의 10배가 차이난다고 할 수 있죠. 일반적으로 구형 셋톱박스일수록 대기전력 소모가 더 많습니다. 구형 셋톱박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신형으로 교체하는 것이 현금 사은품도 받고 전기세도 줄일 수 있어 좋습니다.
만약 2019년 이전 셋톱박스를 쓰고 있다면 구형으로 분류됩니다. 셋톱박스 설치 기준으로 구형과 신형을 분류한 다음에는 케이블 TV 셋톱박스인지 IPTV 셋톱박스인지 구분하시면 됩니다.
케이블 TV가 IPTV 셋톱박스 대기전력보다 높기 때문인데요. 케이블 TV 셋톱박스는 12.8W 대기전력이며 IPTV 셋톱박스는 3.6W 대기전력으로 약 4배 차이납니다. 집에 설치된 TV 셋톱박스가 케이블인지 IPTV인지 모르겠다면 제품 뒷면을 보면 됩니다. 인터넷 랜포트가 꼽혀있다면 IPTV 셋톱박스이며 동그란 케이블이 꽂혀 있다면 케이블 TV 셋톱박스입니다.
IPTV VS 케이블 TV
IPTV | 케이블 TV |
SK BTV : 37,400원 (100M + 223채널) |
SK BTV : 13,200원 (100M + 224채널) |
LG U+ TV : 38,500원 (100M + 212채널) |
LG U+ TV : 29,650원 (100M + 245채널) |
KT 지니 TV : 37,400원 (100M + 226채널) |
KT 지니 TV : 22,000원 (100M + 236채널) |
보통 셋톱박스를 설치하면서 전기 요금과 통신 요금도 같이 결제되기 때문에 전기세와 통신료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이 전체 요금은 더 저렴한 편입니다. 아래 표를 보면 케이블 TV 요금이 더 저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TV 시청과 인터넷 이용을 저렴하게 하고 싶다면 케이블 TV 이용을 추천합니다.
TV 없이 인터넷만 사용했을때 | ||
종류 | 인터넷 | 케이블 |
요금 | SK, LG, KT 22,000원 |
BTV 케이블 : 22,000원 헬로비전 : 20,790원 스카이라이프 : 23,100원 |
특이 사항 | 설치 제한 없음 | 설치 제한 있음 |
TV 시청 대신 인터넷 속도와 품질이 중요하다면 IPTV를 설치하면 됩니다. 인터넷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IPTV가 설치 제한도 없고 인터넷 품질도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죠. 여기에 케이블 TV보다 고객센터, AS 이용도 간편하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