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를 가게 되면 새롭게 인터넷을 설치해야 합니다. 간혹 인터넷 설치를 위해 신청을 하면 다양한 이유로 설치가 불가능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자신의 거주지가 인터넷 설치가 가능한지 여부와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인터넷 설치 여부 조회 방법
내가 살고 있는 주소지에서 인터넷 설치가 가능한지 알기 위해서는 통신사 홈페이지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 홈페이지 인터넷 설치 조회 여부 페이지에서 도로명 주소를 입력해 조회하면 설치 가능 여부가 나오게 됩니다.
SK, KT, LG 인터넷 설치 가능 여부 조회 페이지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 SK : https://ucyber.skbroadband.com:8443/normal.do?serviceId=S_COMM0013&viewId=V_COMM1001
- KT : https://help.kt.com/serviceinfo/SearchHomePhone.do
- LG : https://www.lguplus.com/support/online/coverage-check
조회를 통해 인터넷 설치가 가능하다고 나오면 원하는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해 인터넷 설치를 신청하면 되고 인터넷 설치가 불가능하다고 나오면 아래 방법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설치 불가한 경우 해결법
인터넷 설치가 어려운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외지라 인터넷 회선이나 통신주가 없는 경우와 건물주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1. 인터넷 회선이나 통신주가 없는 경우
외진 곳에 거주해 주변에 통신주가 없어 인터넷 설치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에 방문해 민원을 신청하면 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터넷 서비스를 국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보편적 역무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민원을 제기하면 인터넷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더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혼자하기 보다 주변 주민들이 공동으로 민원을 제기하면 인터넷 설치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해당 주소지 근처 통신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다면 무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거리가 멀면 자기부담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2. 건물주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
건물주가 건물 훼손을 이유로 인터넷 설치를 반대한다면 세입자가 별도로 추후 원상복구 하겠다는 서면 계약서를 작성하면 인터넷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