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스마트폰 해킹으로 인해 개인 정보가 외부로 외출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보안 설정이 있습니다. 오늘은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해킹 방지를 위해 필요한 보안 설정을 알려드립니다.
MMS 문자 자동 수신 해제
스팸 메시지 뿐만 아니라 메시지에 악성코드가 들어간 첨부파일을 보내는 업자들이 있습니다. 만약 MMS 문자 자동 수신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악성코드가 들어간 첨부파일이 자동으로 열려 자신의 핸드폰에 악성코드가 퍼지게 됩니다. 그래서 MMS 문자 자동 수신 기능을 해제해야 합니다. 해제 방법은 아래 방법을 참고하세요.
메시지함 설정 - 추가 설정 - MMS 자동 다운로드 해제
구글 계정 2단계 설정
핸드폰 해킹을 당했을 때 흔한 피해가 구글 플레이 스토어 무단 결제입니다. 여기에 구글과 연동된 다양한 앱 정보도 추가적인 정보 유출 같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 추가 보안조치가 필요합니다. 구글 추가 보안 설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설정 - 구글 - 구글 계정 관리 - 보안 - 2단계 인증 관리 - 비밀번호 입력 - 휴대폰 본인 인증
위치 정보 설정과 개인정보 보호 설정
핸드폰에 새로운 앱을 설치하면 위치 정보를 설정이 뜹니다. 위치 정보를 잘 활용하면 이용자에게 도움을 주지만 GPS 기능이 필요없는필요 없는 앱에서도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면 불필요한 사용자 정보 유출이 됩니다. 그래서 필요한 앱만 위치 기능을 설정하고 위치 기능이 필요 없는 앱은 위치 정보를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설정 - 위치 - 개별 앱 권한 - 위치 정보 수집 거부
스마트폰 사용 초기에 진단 데이터 보내기 설정과 마케팅 정보 수신 설정이 나오게 되는데 이 기능은 불필요한 대표적인 설정입니다. 진단 데이터는 스마트폰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관련 정보를 제조사에 보내는 것인데 오류 해결에 도움도 되지 않고 오류 정보만이 아닌 개인정보가 함께 보내져 개인 정보 유출 문제가 있으니 설정을 끄는 것이 좋습니다. 마케팅 정보 또한 불필요한 정보가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끄는 것이 더 좋습니다.
설정 - 개인 정보 보호 - 진단 데이터 보내기, 마케팅 정보 수신 비활성화
댓글